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7)
우리가 버린 쓰레기는 어디로 갈까?– 소각장, 매립지, 재활용센터의 하루 1️⃣ 쓰레기, 배출한 순간 끝이 아니다키워드: 생활폐기물, 쓰레기 수거, 분류우리가 일상에서 만들어내는 쓰레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음식물을 제외한 일반 생활 쓰레기, 플라스틱과 종이류 같은 재활용품, 깨진 유리나 망가진 가구 같은 대형 폐기물까지 모두 포함된다.이 쓰레기들은 분리배출 기준에 따라 종량제 봉투, 음식물 쓰레기통, 재활용 수거함에 담기고, 각각 다른 루트를 거쳐 수거된다.하지만 이 배출의 순간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우리가 문 앞에 내놓은 쓰레기는 이후 관할 지자체 혹은 위탁업체의 수거 트럭이 가져가며, 그 쓰임과 재활 여부에 따라 소각, 매립, 재활용으로 나뉘게 된다. 2️⃣ 어디로 가나? 3가지 처리 루트키워드: 소각장, 매립지, 재활용센터쓰레기의 주요 종착지는 크게 소각장, 매..
변기 물은 눌렀을 때 어떻게 내려가는 걸까?– 수압, 사이펀, 배관의 과학 1️⃣ 변기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키워드: 변기 구조, 수조, 세관, 부잣소변기는 단순히 물을 흘려보내는 기기가 아니라, 정교하게 설계된 배수용 기계장치다. 겉으로 보기엔 단순한 도기 제품처럼 보이지만, 내부에는 복잡한 흐름과 원리가 숨어 있다.변기의 주요 구성은 크게 세 부분이다. 첫째는 **수조(물탱크)**로, 물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공간이다. 둘째는 **부잣소(변기 볼)**로, 우리가 사용하는 물받이 공간이고, 셋째는 **세관(물흐름 경로)**이다.변기 수조에는 일정량의 물이 항상 저장되어 있고, 수조 내부에는 플로트 밸브, 플러시 밸브, 오버플로우 튜브 등의 기계장치가 들어 있다.수조와 부잣소는 배관으로 연결되며, 물이 쏟아져 들어올 때 S자 모양의 사이펀관을 통해 폐수가 하수도로 이동하게 된..
빗물은 하수도로 가는 걸까?– 우수/오수 구분 시스템의 원리 1️⃣ 우수와 오수는 어떻게 다를까?키워드: 우수, 오수, 생활하수, 빗물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물이 같은 배관을 통해 흘러갈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오수’와 ‘우수’로 구분되어 다른 경로로 처리된다.‘오수’는 세탁, 설거지, 샤워,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로, 인체에서 배출된 유기물과 세제, 기름 등 각종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 물은 반드시 하수처리장을 거쳐 정화한 후 방류해야 한다.반면, ‘우수’는 비가 와서 지붕이나 도로 위로 떨어진 빗물이다. 빗물은 비교적 오염도가 낮고, 대기 중 먼지나 도로의 이물질을 포함하긴 하지만, 생물학적 오염은 거의 없기 때문에 정화 없이 하천으로 바로 흘려보내는 경우가 많다.이러한 특성 때문에 도시는 하수도를 오수 전용 배관과 우수 전용 배관으로 분리..
샤워한 물, 변기 물은 어디로 갈까?– 하수도의 구조와 하수처리장 이야기 1️⃣ 하수는 어떻게 모일까?키워드: 오수, 하수관, 배수구, 분류식 하수도우리가 샤워하거나 변기를 사용할 때 물은 사라지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하수도 시스템이라는 복잡한 관로망을 통해 이동하고 있다.하수는 일반적으로 **생활 오수(洗濯水, 변기, 샤워, 세탁, 설거지 등)**와 빗물 등 **우수(雨水)**로 나뉜다. 도시 대부분은 이 둘을 별도로 처리하기 위해 분류식 하수도를 운영한다.집 안의 배수구, 변기, 세면대에서 나온 물은 벽이나 바닥 내부의 수직관 → 수평관을 지나 건물 외부의 하수관과 연결되고, 이후 지역별 하수 간선로를 따라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간다.이때 하수는 중력을 활용해 낮은 곳으로 흘러가도록 경사 구조로 설계돼 있으며, 지형상 높은 지역은 펌프장을 이용해 물을 끌어내린다. 이렇게 우..
전기 화재는 왜 발생할까?– 콘센트와 전선 속 보이지 않는 위험 1️⃣ 전기 화재의 시작: 열과 불꽃 없이도 생기는 불키워드: 전기 화재, 발화 원인, 저항열전기 화재는 말 그대로 전기를 사용하는 도중 발생하는 화재를 뜻한다. 일반적인 불은 성냥, 촛불, 가스레인지처럼 눈에 보이는 열원에서 시작되지만, 전기 화재는 다르다. 겉으로는 조용하지만, 내부에서 서서히 열이 축적되며 발화점에 도달하는 구조다.전기 화재의 대표적인 원인은 저항열이다. 전류가 흐를 때 전선이나 기기 내부의 저항 부위에서는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이 계속 쌓이면서 온도가 높아지면 전선 피복이나 주변 물질이 발화할 수 있다. 특히 낡은 전선, 피복이 벗겨진 전기 코드, 과도하게 꼬인 멀티탭 등은 저항이 커져 쉽게 열이 쌓이는 구조다.이 과정은 보통 수시간 이상 진행되므로, 사람이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
누전 차단기는 어떻게 작동할까?– 감전 사고를 막는 숨은 보호자 1️⃣ 누전이란 무엇인가?키워드: 누전, 전기 누설, 감전 위험누전이란 말 그대로 전기가 새어 나간다는 의미다. 전기는 도체(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인 전선을 통해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나 절연체가 손상되거나 습기, 이물질, 부식 등의 영향으로 전류가 비정상적인 경로로 흐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누전이다.누전은 매우 위험하다. 흐름이 새어 나간 전기는 사람의 몸이나 건축물의 금속 구조물 등을 통해 예상치 못한 경로로 이동하며 감전이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물기가 많은 욕실, 주방, 세탁실 등은 누전 위험이 높은 장소로 꼽힌다.이런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가 바로 누전 차단기다. 전기가 예상한 경로에서 벗어나거나 일정량 이상 새어나갈 때 ..
전기요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우리가 내는 전기요금의 구조와 단가 1️⃣ 전기요금의 기본 구조키워드: 전기요금, 기본요금, 전력량요금매달 집으로 배달되는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면 단순한 사용량만 표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기본요금과 전력량요금, 그리고 환경비용, 연료비 조정액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돼 있다.전기요금은 크게 두 가지 구성 요소로 나뉜다.첫 번째는 기본요금으로, 말 그대로 전기를 실제로 얼마나 사용했는지와는 무관하게 전기 공급을 위한 설비 유지에 필요한 최소 비용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택용 전기요금의 경우 계약 전력 기준이 아니라 전력 사용량 단계별로 기본요금이 차등 적용된다.두 번째는 전력량요금으로, 실제로 **사용한 전기량(kWh 단위)**에 따라 부과되는 요금이다. 이 전력량요금에는 발전, 송전, 배전, 계통 유지 등에 드는 모든 전력 생산비용이..
콘센트에 플러그 꽂을 때 왜 불꽃이 튈까? – 접촉 스파크의 원리와 전기 안전 1️⃣ 접촉 스파크의 정체키워드: 접촉 스파크, 플러그 불꽃, 아크 방전우리가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을 때 가끔 “팟!” 하는 소리와 함께 불꽃이 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현상은 단순한 오작동이 아니라 ‘접촉 스파크’, 또는 ‘아크 방전(arc discharge)’이라고 불리는 자연스러운 물리 현상이다.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 내부에는 두 개의 금속 단자가 전기를 흐르게 하는 구조인데, 플러그를 꽂는 순간 이 단자에 플러그 핀이 접촉하면서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른다.이때 핀과 단자 사이에 아주 작은 틈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전류가 먼저 통과하려고 할 때, 공기 중에서 짧은 순간 전기적 방전이 일어나며 불꽃이 튀게 된다. 특히 플러그를 꽂거나 뺄 때 해당 기기가 작동 중이라면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이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