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도

(5)
수돗물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갈까? – 정수장부터 하수처리장까지 1️⃣ 수돗물의 출발점: 취수원과 원수 확보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수돗물은 강, 댐, 지하수 등 다양한 수원에서 시작합니다. 환경부 「2023 상수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취수원의 약 73%는 하천수, 16%는 댐, 11%는 지하수가 차지합니다. 이렇게 확보된 원수(原水)는 여전히 흙, 미생물, 유기물 등 다양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어 바로 마실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정수장을 거쳐야만 우리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수돗물이 됩니다.취수 지점은 수질 관리가 까다롭게 이뤄지는데, 주변 토지 이용 현황, 오염원 분포, 계절별 수량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만약 상류에서 산업 폐수가 유입되거나 녹조 현상이 발생하면, 해당 지역은 취수 제한 조치가 내려지기도 합니다. 즉, 수돗물의 시작은 깨끗한 원..
정화조와 하수도, 어떻게 다른 걸까?– 생활 오수 처리 시스템의 구조와 역할 차이 1️⃣ 정화조란 무엇일까?키워드: 오물 분해, 오수 정화, 독립 처리정화조는 말 그대로 오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저장 및 처리 시설입니다.과거에는 하수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었고,현재도 농촌, 단독주택, 건축물의 특정 구조상 하수도 연결이 어려운 경우에 설치됩니다.정화조는 보통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침전조: 대변, 음식물 찌꺼기 등 무거운 고형물 침전분해조: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여과조: 물리적·생물학적 여과를 통해 최종 방류정화조는 일정한 주기로 슬러지(침전물) 청소를 해야 하며,정화 능력을 벗어날 경우 악취 발생, 오염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하수도 시스템은 어떻게 작동할까?키워드: 오수관, 정화처리장, 공공 인프라하수도는 건물의 오수 및 우수..
변기 물은 눌렀을 때 어떻게 내려가는 걸까?– 수압, 사이펀, 배관의 과학 1️⃣ 변기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키워드: 변기 구조, 수조, 세관, 부잣소변기는 단순히 물을 흘려보내는 기기가 아니라, 정교하게 설계된 배수용 기계장치다. 겉으로 보기엔 단순한 도기 제품처럼 보이지만, 내부에는 복잡한 흐름과 원리가 숨어 있다.변기의 주요 구성은 크게 세 부분이다. 첫째는 **수조(물탱크)**로, 물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공간이다. 둘째는 **부잣소(변기 볼)**로, 우리가 사용하는 물받이 공간이고, 셋째는 **세관(물흐름 경로)**이다.변기 수조에는 일정량의 물이 항상 저장되어 있고, 수조 내부에는 플로트 밸브, 플러시 밸브, 오버플로우 튜브 등의 기계장치가 들어 있다.수조와 부잣소는 배관으로 연결되며, 물이 쏟아져 들어올 때 S자 모양의 사이펀관을 통해 폐수가 하수도로 이동하게 된..
빗물은 하수도로 가는 걸까?– 우수/오수 구분 시스템의 원리 1️⃣ 우수와 오수는 어떻게 다를까?키워드: 우수, 오수, 생활하수, 빗물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물이 같은 배관을 통해 흘러갈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오수’와 ‘우수’로 구분되어 다른 경로로 처리된다.‘오수’는 세탁, 설거지, 샤워, 화장실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로, 인체에서 배출된 유기물과 세제, 기름 등 각종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 물은 반드시 하수처리장을 거쳐 정화한 후 방류해야 한다.반면, ‘우수’는 비가 와서 지붕이나 도로 위로 떨어진 빗물이다. 빗물은 비교적 오염도가 낮고, 대기 중 먼지나 도로의 이물질을 포함하긴 하지만, 생물학적 오염은 거의 없기 때문에 정화 없이 하천으로 바로 흘려보내는 경우가 많다.이러한 특성 때문에 도시는 하수도를 오수 전용 배관과 우수 전용 배관으로 분리..
샤워한 물, 변기 물은 어디로 갈까?– 하수도의 구조와 하수처리장 이야기 1️⃣ 하수는 어떻게 모일까?키워드: 오수, 하수관, 배수구, 분류식 하수도우리가 샤워하거나 변기를 사용할 때 물은 사라지는 듯 보이지만, 사실은 하수도 시스템이라는 복잡한 관로망을 통해 이동하고 있다.하수는 일반적으로 **생활 오수(洗濯水, 변기, 샤워, 세탁, 설거지 등)**와 빗물 등 **우수(雨水)**로 나뉜다. 도시 대부분은 이 둘을 별도로 처리하기 위해 분류식 하수도를 운영한다.집 안의 배수구, 변기, 세면대에서 나온 물은 벽이나 바닥 내부의 수직관 → 수평관을 지나 건물 외부의 하수관과 연결되고, 이후 지역별 하수 간선로를 따라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간다.이때 하수는 중력을 활용해 낮은 곳으로 흘러가도록 경사 구조로 설계돼 있으며, 지형상 높은 지역은 펌프장을 이용해 물을 끌어내린다. 이렇게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