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 통신

(6)
CCTV 영상은 어디에 저장되고 누가 관리할까?– 촬영부터 저장, 열람까지 CCTV 관리 시스템의 모든 것 1️⃣ CCTV는 어떻게 촬영하고 저장할까?키워드: 영상 수집, 디지털 녹화기, 실시간 저장CCTV는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자로,특정 공간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저장하는 감시 시스템입니다.현대 CCTV는 대부분 디지털 방식으로 작동하며,기본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카메라가 특정 구역을 24시간 촬영촬영된 영상은 케이블(LAN, 광케이블 등) 또는 무선 송신을 통해**녹화기(NVR 또는 DVR)**에 실시간 저장저장된 영상은 모니터링 센터 또는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백업 가능초기에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방식이 주로 사용됐으나,현재는 IP 카메라와 NVR(Network Video Recorder) 기반의네트워크형..
재난 문자나 경보는 어떻게 전국에 한 번에 퍼질까?– 긴급재난정보의 전송 시스템과 기술 원리 1️⃣ 재난 문자 시스템의 목적과 중요성키워드: 국민 안전, 신속한 전달, 공공 통신망재난 문자 시스템은 지진, 태풍, 화재, 산사태, 미세먼지, 감염병 등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운영됩니다.전국에 신속하게 상황을 알리고, 대피, 주의, 행동 요령 등을 전파하기 위해정부와 이동통신사가 협력하는 국가 차원의 인프라로 구축되어 있습니다.이 시스템은 단순한 안내를 넘어서,경보 효과, 정보 분산 방지, 패닉 예방, 실시간 대응이라는 역할까지 수행합니다. 2️⃣ CBS(Cell Broadcasting Service) 방식이란?키워드: 셀 브로드캐스팅, 기지국 전송, 위치 기반재난 문자는 일반적인 문자(SMS)와 다르게,**CBS(Cell Broadcasting Service)**라..
방송이 안 잡힐 때 – TV 신호의 전달 과정–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의 차이와 수신 원리 1️⃣ 방송 전파는 어디서 시작될까?키워드: 송출소, 전파, 주파수TV 방송은 방송국에서 **신호를 만들어 송출소(TX센터)**를 통해 전파로 전송됩니다.이 전파는 전자기파의 일종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예: 470~698MHz)**을 사용하며공중으로 널리 퍼지게 됩니다.대표적인 송출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지상파 방송(DTV): 공중파 전파로 직접 송출위성 방송: 인공위성을 통해 송출케이블 방송: 유선망을 통해 각 가정으로 전달각 방식은 수신 방식과 장비에 따라 TV 신호의 품질과 안정성에 차이가 생깁니다. 2️⃣ 우리 집까지 전파는 어떻게 도달할까?키워드: 안테나, 수신기, 변환기📡 지상파 방송지상파 방송은 각 지역에 설치된 중계소를 통해 확장 송출됩니다.도심, 산간, 해안 등 다양한 지형 조건..
스마트폰의 GPS는 어떻게 나의 위치를 아는 걸까?– 위성을 이용한 정밀 위치 추적의 원리 1️⃣ GPS의 기본 원리키워드: 인공위성, 거리 계산, 삼변측량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지구 궤도를 도는 인공위성과의 거리 계산을 통해기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입니다.이 시스템은 원래 미국 국방부가 군사용으로 개발했지만, 현재는 민간에도 개방되어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드론, 스마트워치 등 다양한 기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GPS는 기본적으로 최소 4개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내 위치를 계산합니다.그 원리는 ‘삼변측량’에 기반하며, 위성과의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지구상의 한 지점을 **3차원 좌표(x, y, z)**로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2️⃣ GPS 신호는 어떻게 계산될까?키워드: 시간 정보, 전파 속도, 오차 보정GPS 위성은 24시간 내내, 지구 전역을 커버하..
집에 있는 공유기의 원리– 인터넷은 어떻게 방마다 나눠질까? 1️⃣ 인터넷이 집까지 오는 경로키워드: 인터넷 회선, ISP, 모뎀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외부 인터넷 회선이 집까지 연결되어야 합니다.이 회선은 일반적으로 광케이블, 케이블TV선, 또는 **전화선(ADSL)**을 통해 들어오며,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관리합니다.이 회선은 집 안에 있는 **모뎀(Modem)**에 연결되며,모뎀은 외부 디지털 신호를 가정용 네트워크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여기까지는 인터넷이 ‘집 안’까지 도달한 것이고,이 신호를 여러 기기(스마트폰, 노트북, TV 등)로 나누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공유기(Router)**입니다.2️⃣ 공유기의 역할은 무엇일까?키워드: IP 주소 할당, 라우팅, NAT공유기는 단순히 인터넷 신호를 나누는 장비가 아닙니다..
와이파이, LTE, 5G는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 무선 통신 기술의 핵심 원리 1️⃣ 무선 통신이란 무엇일까?키워드: 전자기파, 주파수, 디지털 신호, 마이크로파와이파이, LTE, 5G는 모두 공통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합니다. 무선 통신이란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는 방식을 말합니다.이때 사용되는 전자기파는 넓은 의미에서 **라디오파(Radio Wave)**에 속하며, 그 중에서도 마이크로파(Microwave) 대역을 주로 사용합니다. 라디오파는 3Hz300GHz의 범위를 갖고, 마이크로파는 그 중 300MHz~300GHz의 고주파 대역을 말합니다. 즉,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와이파이(2.4GHz/5GHz), LTE(700MHz2.6GHz), 5G(3.5GHz, 28GHz)는 모두 마이크로파 영역의 라디오파에 해당합니다.이러한 전자기파는 공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