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8)
전기는 어떻게 우리 집까지 올까? – 가정용 전력의 이동 경로 1️⃣ 전기의 시작: 발전소에서의 생산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집니다.2023년 한국전력공사(KEPCO)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발전량 중 61%는 화력 발전, 27%는 원자력 발전, 12%가 수력·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입니다.발전소는 발전 방식을 달리하지만 공통적으로 터빈을 돌려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합니다.화력 발전: 석탄·LNG를 태워 증기로 터빈 가동원자력 발전: 핵분열 반응의 열로 증기 발생수력 발전: 댐에서 떨어지는 물의 힘으로 터빈 회전신재생 에너지: 태양광(광전 효과), 풍력(바람의 운동 에너지), 지열 등📌 출처: 한국전력공사 「전력통계연보 2023」 2️⃣ 송전: 발전소에서 변전소까지발전소에서 막 생산된 전기는 수십만 볼트의 초고압(154~765kV..
건물 내 비상 발전기의 구조와 작동 방식– 정전에도 멈추지 않는 시스템의 비밀 1️⃣ 비상 발전기는 왜 필요할까?키워드: 정전 대비, 생명 안전, 전원 이중화비상 발전기는 정전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입니다.의료시설, 아파트, 고층 건물, 데이터센터, 공장 등전원 중단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장소에 필수적으로 설치됩니다.예를 들어 병원에서는 정전이 발생하면생명 유지 장비와 수술 장비가 멈출 수 있기 때문에비상 발전기를 통해 몇 초 이내 전력을 자동 공급해야 합니다.건물 내 엘리베이터, 비상등, 스프링클러 제어장치,보안 시스템 등이 정상 작동하도록 유지하는 것도비상 발전기의 중요한 역할입니다.2️⃣ 비상 발전기의 기본 구성과 작동 원리키워드: 디젤 엔진, 발전기, ATS(자동 절체 스위치)비상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집니다:구성 ..
태양광 패널의 원리와 설치 구조– 햇빛으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 어떻게 작동할까? 1️⃣ 태양광 발전의 기본 원리키워드: 광전 효과, 태양광 발전, DC 전기 생성태양광 발전은 태양빛을 이용해 직류 전기를 생성하는 기술입니다.이 과정은 반도체 물질이 햇빛에 반응해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즉 **광전 효과(Photoelectric Effect)**를 이용합니다.태양광 패널은 다음의 구조로 전기를 생산합니다:태양광이 패널에 닿으면, 셀 내부의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 이동이때 발생한 전자 흐름이 **직류 전류(DC)**를 형성생성된 전기는 인버터를 통해 **교류 전류(AC)**로 변환가정 내 전기 사용 또는 계통 전력망으로 송전따라서 태양광 패널은 단순한 판이 아니라,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반도체 발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2️⃣ 태양광 패널의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키워드: 셀, 모듈, 어레이..
전기 화재는 왜 발생할까?– 콘센트와 전선 속 보이지 않는 위험 1️⃣ 전기 화재의 시작: 열과 불꽃 없이도 생기는 불키워드: 전기 화재, 발화 원인, 저항열전기 화재는 말 그대로 전기를 사용하는 도중 발생하는 화재를 뜻한다. 일반적인 불은 성냥, 촛불, 가스레인지처럼 눈에 보이는 열원에서 시작되지만, 전기 화재는 다르다. 겉으로는 조용하지만, 내부에서 서서히 열이 축적되며 발화점에 도달하는 구조다.전기 화재의 대표적인 원인은 저항열이다. 전류가 흐를 때 전선이나 기기 내부의 저항 부위에서는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이 계속 쌓이면서 온도가 높아지면 전선 피복이나 주변 물질이 발화할 수 있다. 특히 낡은 전선, 피복이 벗겨진 전기 코드, 과도하게 꼬인 멀티탭 등은 저항이 커져 쉽게 열이 쌓이는 구조다.이 과정은 보통 수시간 이상 진행되므로, 사람이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
누전 차단기는 어떻게 작동할까?– 감전 사고를 막는 숨은 보호자 1️⃣ 누전이란 무엇인가?키워드: 누전, 전기 누설, 감전 위험누전이란 말 그대로 전기가 새어 나간다는 의미다. 전기는 도체(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인 전선을 통해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나 절연체가 손상되거나 습기, 이물질, 부식 등의 영향으로 전류가 비정상적인 경로로 흐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누전이다.누전은 매우 위험하다. 흐름이 새어 나간 전기는 사람의 몸이나 건축물의 금속 구조물 등을 통해 예상치 못한 경로로 이동하며 감전이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물기가 많은 욕실, 주방, 세탁실 등은 누전 위험이 높은 장소로 꼽힌다.이런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치가 바로 누전 차단기다. 전기가 예상한 경로에서 벗어나거나 일정량 이상 새어나갈 때 ..
전기요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우리가 내는 전기요금의 구조와 단가 1️⃣ 전기요금의 기본 구조키워드: 전기요금, 기본요금, 전력량요금매달 집으로 배달되는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면 단순한 사용량만 표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기본요금과 전력량요금, 그리고 환경비용, 연료비 조정액 등 다양한 항목이 포함돼 있다.전기요금은 크게 두 가지 구성 요소로 나뉜다.첫 번째는 기본요금으로, 말 그대로 전기를 실제로 얼마나 사용했는지와는 무관하게 전기 공급을 위한 설비 유지에 필요한 최소 비용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택용 전기요금의 경우 계약 전력 기준이 아니라 전력 사용량 단계별로 기본요금이 차등 적용된다.두 번째는 전력량요금으로, 실제로 **사용한 전기량(kWh 단위)**에 따라 부과되는 요금이다. 이 전력량요금에는 발전, 송전, 배전, 계통 유지 등에 드는 모든 전력 생산비용이..
콘센트에 플러그 꽂을 때 왜 불꽃이 튈까? – 접촉 스파크의 원리와 전기 안전 1️⃣ 접촉 스파크의 정체키워드: 접촉 스파크, 플러그 불꽃, 아크 방전우리가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을 때 가끔 “팟!” 하는 소리와 함께 불꽃이 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현상은 단순한 오작동이 아니라 ‘접촉 스파크’, 또는 ‘아크 방전(arc discharge)’이라고 불리는 자연스러운 물리 현상이다.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 내부에는 두 개의 금속 단자가 전기를 흐르게 하는 구조인데, 플러그를 꽂는 순간 이 단자에 플러그 핀이 접촉하면서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른다.이때 핀과 단자 사이에 아주 작은 틈이 남아 있는 상황에서 전류가 먼저 통과하려고 할 때, 공기 중에서 짧은 순간 전기적 방전이 일어나며 불꽃이 튀게 된다. 특히 플러그를 꽂거나 뺄 때 해당 기기가 작동 중이라면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이므로..
정전이 되는 진짜 이유 – 한전과 전기 공급 시스템의 구조 1️⃣ 정전의 정의와 유형키워드: 정전, 순간정전, 계획정전, 사고정전우리가 흔히 말하는 ‘정전’은 전기 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정전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순간정전이다. 이는 1초 미만의 짧은 시간 동안 전기가 끊기는 경우로, 대부분의 사람은 눈치채지 못하지만, 컴퓨터나 서버처럼 민감한 기기는 꺼질 수 있다. 두 번째는 계획정전으로, 한국전력공사(한전)가 설비 점검, 선로 보수, 공사 등의 이유로 사전에 공지하고 전기 공급을 일시 중단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흔하면서도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 사고정전이다. 이는 갑작스런 설비 고장, 자연재해, 과부하, 낙뢰,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복구 시간도 길고 피해 범위도 넓다. 정전은 단순히 불편함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