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기의 시작: 발전소에서의 생산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집니다.
2023년 한국전력공사(KEPCO)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발전량 중 61%는 화력 발전, 27%는 원자력 발전, 12%가 수력·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입니다.
발전소는 발전 방식을 달리하지만 공통적으로 터빈을 돌려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생산합니다.
- 화력 발전: 석탄·LNG를 태워 증기로 터빈 가동
- 원자력 발전: 핵분열 반응의 열로 증기 발생
- 수력 발전: 댐에서 떨어지는 물의 힘으로 터빈 회전
- 신재생 에너지: 태양광(광전 효과), 풍력(바람의 운동 에너지), 지열 등
📌 출처: 한국전력공사 「전력통계연보 2023」
2️⃣ 송전: 발전소에서 변전소까지
발전소에서 막 생산된 전기는 수십만 볼트의 초고압(154~765kV) 전기입니다.
멀리 보내려면 손실이 적어야 하기 때문에 고압으로 만들어 송전탑과 송전선을 통해 전국으로 전달합니다.
하지만 가정에서 쓰기엔 너무 높은 전압이라 변전소라는 중간 거점에서 단계적으로 낮추어야 합니다.
- 765kV → 345kV → 154kV → 22.9kV …
- 전력 손실을 줄이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하는 과정
👉 전력 안정성 문제는 정전의 진짜 이유 글과도 연결됩니다.

3️⃣ 배전: 우리 동네까지 오는 길
변전소에서 낮춘 전기는 배전망을 통해 각 지역으로 보내집니다.
이 단계에서는 보통 22.9kV 정도로 분배되며, 다시 소규모 배전 변압기에서 220V/110V로 바뀌어 아파트, 주택, 상가에 공급됩니다.
가정으로 들어온 전기는 **분전반(배전반)**을 거쳐 각 방과 가전에 분배됩니다.
이때 **차단기(MCCB, 누전차단기 등)**가 과부하·누전을 감지해 전기를 자동 차단하여 화재를 예방합니다.
📌 생활 팁
- 갑자기 전기가 끊기면 분전반 차단기 트립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확인 후 스위치를 올리면 해결됩니다.
- 콘센트에서 불꽃이 자주 튀면, 과부하나 배선 노후 신호일 수 있으니 전문가 점검이 필요합니다.
4️⃣ 전력 수급과 관리: 보이지 않는 제어실
전기는 저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산과 소비가 늘 같은 속도로 맞아야 합니다.
이 균형을 유지하는 곳이 바로 **전력거래소(KPX)**입니다.
실시간으로 전국의 전력 수요를 분석하여 발전소 가동량을 조절하고, 정전이나 공급 불안정이 생기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 여름철 피크(오후 2~5시)에는 예비전력 확보를 위해 추가 발전소 가동
- 겨울철 난방 수요 급증 시 LNG 발전소 가동률 상승
- 태양광·풍력 발전은 날씨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화력·원자력이 이를 보완
📌 출처: 전력거래소 「전력수급 보고서 2023」
5️⃣ 해외 사례와 비교
- 미국: 주별 전력망이 분리되어 있어, 정전 시 다른 주에서 전력 수급이 어려움.
- 유럽(EU): 국경을 넘는 전력 거래가 활발하여, 독일에서 생산한 풍력 전기가 프랑스·이탈리아로도 흘러감.
- 일본: 동부(50Hz)와 서부(60Hz)의 주파수가 달라 전력 연계가 까다로움.
👉 한국은 단일 주파수(60Hz) 체계라 전국 단위 전력 관리가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6️⃣ 미래의 전력 인프라
앞으로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가 전력망의 중심이 될 전망입니다.
- AI가 실시간으로 수요 예측
- 전기차 충전·태양광 발전을 가정에서 전력망에 연결
- 가정용 배터리(ESS)를 통한 전력 저장·판매
산업통상자원부는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30%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송·배전망 기술 혁신과 함께 실현될 계획입니다.
🧠 정리
전기는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 송전 → 변전 → 배전 → 가정으로 전달됩니다.
이 모든 과정을 한국전력·전력거래소 같은 기관이 24시간 제어하며,
앞으로는 스마트 그리드와 재생에너지 확대로 전력 시스템이 더 지능화될 것입니다.
📊 출처
- 한국전력공사, 「전력통계연보 2023」
- 전력거래소, 「전력수급 보고서 2023」
- 산업통상자원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3~2036)」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건물 내 비상 발전기의 구조와 작동 방식– 정전에도 멈추지 않는 시스템의 비밀 (3) | 2025.08.07 |
|---|---|
| 태양광 패널의 원리와 설치 구조– 햇빛으로 전기를 만드는 기술, 어떻게 작동할까? (4) | 2025.08.06 |
| 전기 화재는 왜 발생할까?– 콘센트와 전선 속 보이지 않는 위험 (4) | 2025.08.02 |
| 누전 차단기는 어떻게 작동할까?– 감전 사고를 막는 숨은 보호자 (1) | 2025.08.02 |
| 전기요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우리가 내는 전기요금의 구조와 단가 (1) | 2025.08.02 |
| 콘센트에 플러그 꽂을 때 왜 불꽃이 튈까? – 접촉 스파크의 원리와 전기 안전 (5) | 2025.08.02 |
| 정전이 되는 진짜 이유 – 한전과 전기 공급 시스템의 구조 (1) | 2025.08.02 |